통장 4개로 재테크하는 방법: 월급 300으로 부자되는 비법(ft. 보너스, 성과급, 저수지 통장)
소득이 들쑥날쑥해서 저축이 어렵다고요? 월급 300만 원으로 부자되는 통장 4개 관리 비법을 소개합니다. 프리랜서든 월급을 받는 직장인이든 통장 4개 시스템을 활용하면 변동 소득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파킹통장, 정기예금, 계절 지출 통장, 저수지 통장으로 구성된 이 시스템을 통해 보너스와 성과급까지 효과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돈쭐남' 김경필의 노하우를 따라 저축은 목표, 소비는 예산으로 관리하며 미래를 준비하세요. 어떻게 통장을 나눠야 하는지, 변동 소득에도 흔들리지 않고 저축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이 글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통장 4개로 재테크하는 비법을 통해 여러분도 소득 변동에 상관없이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월 소득 파악하기
월 소득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재테크의 첫걸음입니다. 많은 직장인이 월 소득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정기적인 월급 외에도 상여금, 성과급 등 보너스가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보너스를 제외하고 정기적으로 받는 월급만 자신의 소득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흔하죠.
보너스도 소득이다
보너스는 회사가 성과에 따라 지급하는 일시적인 소득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분명히 월 소득의 일부입니다. 회사가 정기 상여금, 성과급 등의 형태로 보너스를 지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통상임금 축소: 회사는 퇴직금을 줄이기 위해 통상임금을 최대한 축소하려고 합니다. 보너스를 통상임금에 포함하지 않으면 퇴직금 계산 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 성과에 따른 보상: 실적을 낸 직원에게 동기부여 차원에서 추가 보상을 제공합니다.
통상임금이란?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근로에 대해 지급하기로 정한 금액을 말합니다. 보너스 중 정기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만, 성과급 등 부정기적인 보너스는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결론: 정기 월급 외에 상여금과 성과급 등 모든 소득을 월 소득에 포함해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저축과 소비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보너스도 월급이다
보너스와 상여금을 월 소득에서 제외하고 공돈으로 생각하지 마세요. 이는 밀린 월급과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매달 333만 원을 받아야 하는데 회사가 250만 원만 주고, 보너스로 500만 원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밀린 소득을 한 번에 받으면 관리가 어려워지기 마련입니다.
보너스 관리의 어려움
- 보릿고개: 보너스가 나오기 전 월급이 적은 달을 보릿고개라 부릅니다. 이 시기에 필요한 예산이 부족해 소비를 줄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공돈 착각: 보너스를 공돈으로 생각해 평소보다 과소비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저축의 소극성: 월급이 일정하지 않아 저축을 계획하기 어렵습니다.
해결책: 보너스를 월급으로 인식하기
- 평균 월 소득 파악: 월 소득이 일정하지 않아도 연간 소득을 기준으로 평균 월 소득을 계산해야 합니다.
- 보너스도 월 소득에 포함: 보너스, 성과급, 알바비 등 모든 수입을 월 소득에 포함해 관리합니다.
- 저수지 통장 활용: 보너스를 저수지 통장에 모아두고, 매달 일정한 금액을 월급 통장으로 이체해 월 소득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결론: 보너스도 월급의 일부로 인식하고 변동 소득을 관리해야 저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통장 4개 시스템의 구성
통장 4개 시스템은 파킹통장, 정기예금, 계절 지출 통장, 저수지 통장으로 구성됩니다.
1. 월급 통장
모든 소득이 먼저 들어오는 기본 통장입니다. 월급뿐 아니라 보너스, 성과급 등 모든 수입이 이 통장으로 들어옵니다.
2. 소비 통장
월 소비 예산을 관리하는 통장입니다. 월급 통장에서 소비 통장으로 일정 금액을 이체하고, 이 통장에서는 식비, 교통비, 생활비 등 일상적인 지출을 처리합니다.
3. 계절 지출 통장
연간 특정 시즌에 필요한 비용을 관리하는 통장입니다. 연말정산 세금, 자동차 보험료, 명절 경조사비 등 비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지출을 대비해 매달 일정 금액을 이 통장에 이체합니다.
4. 저수지 통장
소득 변동을 조절하는 핵심 통장입니다. 프리랜서나 변동 소득이 많은 직장인도 이 통장을 통해 매달 일정한 소득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월급 통장에서 저수지 통장으로 일정 금액을 이체해 변동 소득을 관리합니다.
통장 시스템 활용 순서:
- 모든 소득을 월급 통장에 입금.
- 월급 통장에서 저축액을 자동이체.
- 소비통장에 예산만큼 송금.
- 계절 지출을 위한 예산은 계절 지출 통장으로 이체.
- 남은 금액을 저수지 통장에 모아둠.
- 저수지 통장에서 매달 일정 금액을 월급 통장에 이체.
결론: 통장 4개 시스템을 통해 소득이 일정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재무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저수지 통장의 중요성
저수지 통장은 소득의 변동성을 조절하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프리랜서나 변동 소득이 많은 직장인도 이 통장을 통해 매달 일정한 소득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수지 통장 관리 방법
- 모든 소득을 월급 통장에 입금: 월급뿐 아니라 보너스, 성과급, 알바비 등 모든 수입을 월급 통장에 입금합니다.
- 월급 통장에서 저축액 자동이체: 월급 통장에서 저축액을 자동이체합니다.
- 소비 통장에 예산만큼 송금: 월 소비 예산을 관리하는 소비 통장에 일정 금액을 송금합니다.
- 계절 지출 통장에 예산 송금: 계절 지출 통장에 매달 일정 금액을 송금해 연말정산 세금, 자동차 보험료, 명절 경조사비 등 비정기적인 지출을 대비합니다.
- 저수지 통장에 남은 금액 모아둠: 남은 금액은 저수지 통장에 모아두고, 매달 일정한 금액을 월급 통장으로 이체해 월 소득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저수지 통장 활용법
- 변동 소득 관리: 보너스 등 변동 소득을 저수지 통장에 모아두고, 매달 일정 금액을 월급 통장으로 이체해 월 소득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 저축 목표 달성: 변동 소득을 저수지 통장에 모아두면 저축 목표를 더 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 예산 관리: 소비 예산을 지키고 변동 소득에도 흔들리지 않는 재무 관리를 실현합니다.
결론: 저수지 통장은 변동 소득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저축 목표를 달성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변동 소득으로 안정적인 저축 목표 달성하기
변동 소득이 있다고 저축을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너스, 성과급, 알바비 등 변동 소득을 저수지 통장을 통해 관리하면 안정적인 저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목표 저축액 설정
- 월 소득 333만 원 기준: 저축 목표 50% 설정 → 월 167만 원 저축.
- 평균 소득 기준: 보너스, 성과급 등 변동 소득까지 포함한 평균 월 소득을 기준으로 저축 목표를 설정합니다.
저축 목표 달성 방법
- 보너스 활용법:
- 보너스가 많은 달에 정기예금을 통해 저축.
- 평소에는 정기적금으로 저축.
- 저수지 통장 활용:
- 변동 소득을 저수지 통장에 모아두고, 매달 일정 금액을 월급 통장으로 이체해 월 소득을 일정하게 유지.
예시
- 월 167만 원 저축 목표:
- 보너스 500만 원을 정기예금 → 월 42만 원 저축과 동일 효과.
- 남은 금액 125만 원은 정기적금으로 저축.
- 저수지 통장 관리:
- 보너스, 성과급, 알바비 등 모든 수입을 저수지 통장에 모아두고, 매달 일정 금액을 월급 통장으로 이체해 소득을 일정하게 유지.
결론: 변동 소득에도 저수지 통장을 활용하면 안정적인 저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요약: 저축은 목표, 소비는 예산
소득 변동이 심해도 통장 4개 시스템을 통해 저축 목표를 설정하고 소비 예산을 지키면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든 월급을 받는 직장인이든 소득이 일정하지 않아도 저수지 통장을 통해 매달 일정한 소득을 유지하고, 저축 목표를 달성하세요.
요약:
- 저축은 목표:
- 목표 저축액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저수지 통장을 활용합니다.
- 소비는 예산:
- 월 소비 예산을 설정하고 이를 지키는 통장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통장 4개 시스템:
- 월급 통장, 소비 통장, 계절 지출 통장, 저수지 통장.
결론: 저축은 목표, 소비는 예산을 실천해 통장 4개로 부자가 되어보세요.
최근댓글